[강소기업] 중원산업,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재생 포장공법 개발
[강소기업] 중원산업,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재생 포장공법 개발
  • 황순호 기자
  • 승인 2023.12.18 14: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스팔트 폐기물, 버릴 것 하나 없는 ‘알짜배기’
친환경 녹색공법・우수한 경제성 등 정부 정책기조에도 부합
건설 특허・신기술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투자 필요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최근 원자재 가격 및 금리 등 가격의 변수가 요동치면서 보다 안정적・경제적인 공사 기법 등을 선호하는 건설업체들이 늘고 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원자재 등 가격 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는 특성상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광주광역시의 중원산업㈜이 개발한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포장공법’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중원산업은 지난 1978년 전라남도에 처음으로 레미콘 공장을 설립한 기업이자 지역을 대표하는 레미콘 명가(名家)로, 건설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레미콘·아스콘·쇄석 골재 등 기초 자재들의 제조 및 생산에서도 혁신적인 기술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현장가열 아스팔트 표층 재생 포장공법은 중원산업이 약 50억원의 비용을 투자해 개발한 대표적인 친환경 공법으로, 중원산업은 이를 활용해 ‘100년 기업’으로 도약할 채비를 하고 있다.

◼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 아스팔트 폐기물 ‘100%’ 재활용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은 아스팔트 도로포장의 노면표층을 예열기·A-Unit·B-Unit·퍼그밀 등 현장가열 표층재생 장비 1조를 통해 3회 가열 및 각 2.5㎝로 2회 절삭해 만들어지는 폐아스콘에, 배합설계에 의한 신재아스콘과 특수개질재생 첨가제를 혼합해 그 자리에 폐아스콘 전량을 재생 및 포설하는 공법이다.

이는 지난 2016년 1월 1일부터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및 환경부의 순환골재 의무사용량에 관한 고시에 따라 골재 소요량의 40% 이상을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할 것을 의무화한 데 따른 것이다.

먼저 LPG 탑재 트럭과 1차 가열기가 실린 트레이너로 구성된 가열기가 지상 30㎝ 높이에서 고압 송풍버너를 가동해 2.5~4.0㎝ 깊이로 노면을 1차 예열해 가열 중 미연소 탄화수소를 배출 전 소각한다.

이어 2차 가열 및 2.5~3.0㎝ 깊이의 2차 절삭을 통해 기계 중심부 노면에 정렬하고 절삭한 기존 아스팔트 혼합물에 특수개질재생첨가제를 투입한다.

그런 다음 아스콘을 덤프트럭으로 운반해 B-Unit의 호퍼로 공급, 호퍼에 신재 아스팔트 혼합물을 투입하고 3차 가열한 뒤 2.5~3.0㎝ 깊이로 2차 절삭을 하고, 총 3회에 걸쳐 혼합을 한다.

마지막으로 혼합물의 온도를 110℃ 이상으로 유지한 뒤 포설해 이를 롤러와 탬퍼로 다져 완성한다. 이 때 다짐도는 기준밀도의 96% 이상이어야 하며, 충분한 양생시간을 줌으로써 노면의 온도를 50℃ 이하로 낮춘 뒤 교통을 개방한다.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중원산업의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은 기존의 절삭덧씌우기 공법 대비 ▷주변 구조물의 현 상태 유지로 인한 공사비 약 30% 절감 ▷도로의 기존 높이 및 폭 등 원 상태 유지 가능 ▷노면의 고온 가열 및 현장가열 혼합으로 인한 공사 품질 향상 ▷절취 부분 및 폐아스콘의 전량 재활용을 통한 자원 절약 및 환경오염 최소화 ▷포장면 절취와 동시에 포설로 인한 공기 단축 및 교통체증 최소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비교적 연약한 지반이나 다습지, 중량물 통과 지역 등 다양한 현장 여건에 맞춰 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 및 녹색성장 기조에도 가장 알맞다는 것이 중원산업의 설명이다.

중원산업은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으로 280개소 이상의 공사현장에서 시공을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으며, 해당 기술을 특허 출원함과 더불어 2015 대한민국 지식경영 대상, 2016 대한민국 중소기업 대상 수상하는 등 그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최상준 중원산업 대표는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은 단일 시공으로 완공까지 ‘원스톱’ 방식을 목표로 함으로써 공사로 인한 교통체증 문제를 해소하고 제각각인 도로 및 구조, 현장 환경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정부, 건설 특허 및 신기술 외면… 이대로 괜찮은가

현재 4차 산업혁명이 전 세계 모든 산업을 강타, 지금까지의 산업 패러다임 및 기조를 완전히 뒤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AI·빅데이터·IoT 등 관련 기술력을 얼마나 확보하고 있는지가 앞으로 경쟁력의 척도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중소기업의 기술력 수준이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국내 사업체는 지난해 기준 총 729만5,393개로, 이 중 99.8%인 728만543개가 중소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산업별 중소기업의 기술력이 받쳐줘야 고용 및 세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중소기업들의 혁신 기술 및 공법에 지나치게 무관심하다는 의견이 여기저기서 제기되고 있다. 기존 공법 대비 차별화된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통해 건설시장에 적극 진입해야 할 신기술들이 무관심 속에 발주처에서의 채택 및 적용 기회를 얻지 못함에 따라 점차 쇠퇴하고 있으며, 나아가 기술인들의 기술 발전 및 개발 의욕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정부가 건설 특허나 신기술을 보호·육성함으로써 기술 발전 및 개발 의욕을 고취시켜야 함에도 정부의 안일한 태도가 사운을 걸고 자금 및 인력을 투자해 개발한 특허 및 신기술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국가를 상대로 개발한 기술 보유기업들의 상당수가 존폐의 기로에 선 상태다.

반면 정부가 연구기관 및 산·학 연대 기술 개발에 매년 수천억원을 지원하는 R&D 사업이 대부분 개발에 성공하지 못하면서 이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중원산업의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도 이미 정부로부터 특허 출원을 허가받는 등 그 혁신성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특히 국가계약법 제7조에 따라 ‘사실상 경쟁이 불가능한 품목’으로써 지난 2019년 이전까지 수의계약 체결이 이뤄지기도 했다. 그런데 2019년 유사업체 일시 진입으로 인해 수의계약이 중단됐다.

이에 최상준 중원산업 대표는 “해당 업체는 당시 중원개발에 근무했던 자가 퇴사하면서 기술 및 자료들을 반출한 뒤 설립한 것으로, 이듬해 폐업을 했음에도 중원개발은 여전히 경쟁입찰을 거쳐야 하는 상황”이라고 불만을 표시했다. 

일시적인 상황, 그것도 이미 해결된 문제임에도 현행법이 보장하는 신기술 및 공법의 우선반영과 수의계약의 혜택을 부당하게 빼앗기고 있는 것이다.

현장가열 표층재생공법은 이미 25년 전 개발에 성공한 특허 신기술임에도 1년에 약 15~20일의 도로 보수 현장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일괄 하도급을 전제로 적격 심사도 생략한 채 무자격 업체를 경쟁 입찰에 참여케 하며, 공사 수행 능력이 없는 자를 낙찰자로 선정함으로써 중원산업으로 하여금 일괄 하도급을 받도록 강요해 발주처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법’ ‘건설산업기본법’ 등을 위반하고 있다는 것이 최 대표의 설명이다.

특히 무자격 낙찰자가 하도급 수수료를 지급하고 공사가 지연되는 등 중원개발의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며, 어렵게 개발된 건설 특허 신기술도 용도폐기 처분될 위험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현장가열 표층재생 포장공법 현장 시공 예시. 사진 제공 = 중원산업

최 대표는 “정부가 발주하는 공사의 경우 예산 절약, 건설 폐기물 재활용이 필수임에도 기술을 개발한 업체가 발주처에 이를 적극적으로 어필해도 ‘특허 신기술을 지니고 있는 게 너희뿐이냐, 너희에게 발주를 하는 건 특혜를 주는 것과 같다’라고 경시하는 게 현실”이라며 “기술의 옥석을 가려내 산업현장에서의 선순환을 이끌어야 할 일선 공무원들의 의지 부족이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투자해 신기술을 개발한 기업에 발주하는 것을 그저 특혜로 여기게 만들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또 “국내 도로정비 및 토목, 건설 시장 모두가 상생하고 미래를 위해 보다 친환경적인 기술을 현장에 적극 적용하는 것은 정부의 선택 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이라며 “앞으로 정부가 중소기업들의 신기술에 관심을 갖고 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산업의 기술력 향상 및 선순환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