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칼럼] '농촌다움'이 아닌 '농촌다음(Next 농촌)'
[조경칼럼] '농촌다움'이 아닌 '농촌다음(Next 농촌)'
  • 강영은 경상국립대 교수
  • 승인 2023.10.18 09: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재구조화법, '농촌다움' 회복과 국토 균형발전 기여 목적
주거, 커뮤니티 모델 개발 등 청년층 유입 방안 모색해야
강영은 경상국립대 교수.
강영은 경상국립대 교수.

지난 3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농촌재구조화법」)이 제정됨에 따라 농촌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과 성장 지원이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법률 제정 배경을 살펴보면, 농촌의 난개발과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이라는 대국민 공감대 하에 농촌의 삶터, 일터, 쉼터로서의 '농촌다움'을 회복하고 국토 균형발전 기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렇다면, 농촌을 농촌 답게 조정, 지원하자는 것이 본 법의 주요 목적이자 핵심 사안인데, 회복이 필요한 농촌다움이란 무엇일까? 
'농촌다움'은 농촌 고유의 가치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유무형의 자원을 의미한다.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다움'은 우리가 기대하는 고유성과 정체성을 돋우기 위해 긍정적으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미래지향적 사업을 지체시키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농촌의 경쟁력 살리기,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미래지향적 과제를 풀어가는데 있어 '농촌다움'은 농촌의 미래지향적 삶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폭넓게 해석돼야 할 것이다.

‘농촌다움’ 회복과 함께 농촌 공간을 새롭게 재구조화해보자는 「농촌공간재구조화법」의 구상과 계획도 고무적이지만, 그 밑그림 아래 젊은 사람들이 살고 싶은 이상적인 농촌의 모습은 어떤 것인가 고민하는 것도 매우 절실하다. 
젊은 사람들이 살고 싶은 농촌에 대한 이상은 매우 주관적이지만, 이미 도시의 편리함을 필수적인 삶의 요소로 생각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필요한 공간계획 전략은 크게 2가지다. 
첫째, 도시의 편리함을 닮은 농촌을 만들어 주는 것, 둘째, 어떤 도시에서도 흉내낼 수 없는 유토피아적인 농촌의 사례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유토피아적인 농촌은 민간에서 활발하게 추진할 수 있게 정부, 지자체에서 건설사 등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으로 모델의 창의성을 높이는 쪽이 바람직하다. 
선진국에서는 농촌의 전통적 주거 형태에 현대적 구조물을 덧대어 새로운 경관을 창출하는 사례, 풍광이 좋은 곳에 집단 농촌 주거시설을 조성하는 사례, 근교 농촌의 입체적인 농업·체험 공간 사례 등이 매력적인 농촌공간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농촌에 삶의 터전을 잡은 젊은 층의 고민은 ‘불안감’ 한 마디로 설명될 수 있다. 즉 도시에 살고 있는 젊은 사람들에 비해 뒤처질까라는 막연한 걱정이다. 

정부의 지원과 민간의 창의성을 더해 이색적이고 유토피아적인 공간에 와 있다는 느낌이 들 수 있는 주거, 커뮤니티 모델 등의 사례를 개발해 젊은 층이 일하고 살고 싶은 농촌을 만드는 데 집중해 보는 것은 어떨까. 
농촌의 경관, 농촌의 경쟁력, 국토 균형 등을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건 '농촌다움’이 아니라 새로운 농촌을 받아들일 준비를 하는 '농촌다음(Next 농촌)'이 아닐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