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건물도 레고처럼… ‘모듈러 건축’이 뜬다
이젠 건물도 레고처럼… ‘모듈러 건축’이 뜬다
  • 황순호 기자
  • 승인 2023.06.19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듈러 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전략 포럼’ 개최
규제쇄신 통해 모듈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목표

김민기 국회 국토교통위원장 및 김정재·최인호 간사, 강대식·김두관·민홍철·박정하·한준호·허영 위원 등이 지난 1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모듈러 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전략 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국내 모듈러 시장의 현황과 비전을 점검하고 모듈러 건축 산업을 효율적으로 육성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모듈러 건축(modular construction)은 건축물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으로 운반해 조립하는 시스템으로, 건축 현장 작업이 최소화돼 안전사고 위험을 줄이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분진을 줄여 지역 주민들의 민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보다 계절 등의 영향을 덜 받아 공기를 기존보다 더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량도 더 적어 경제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포럼에서는 ▷모듈러 건축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혁신 방안(안용한 한양대 ERICA 캠퍼스 건축학부 교수) ▷국내 실증사업을 통한 향후 고층화 모듈러 시장 방향(배규웅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중고층모듈러연구단장) ▷국내 내화구조 관련 법제도 현황 및 모듈러 내화 인정 개선 방안(하태휴 포스코 철강솔루션연구소 수석연구원) 등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안용한 교수는 기술력의 한계·협소한 시장 환경·관련 제도의 미비·발주처 리스크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국내에서 아직 모듈러 건축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국·일본·싱가포르·홍콩 등 주요 국가들의 모듈러 활성화 방안을 벤치마킹하는 한편 ▷공업화주택 인정제도 개선 ▷OSC 공법의 사업성 개선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제도 개선 ▷전기·통신·소방 분리발주 예외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배규웅 단장은 최근 주택·건축·토목·플랜트 등 각종 건설 현장에 IoT·모바일·웨어러블 기기·드론 등을 활용해 공정 전반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스마트 건설’이 대두됨에 따라 그 일환으로 모듈러 건축을 적극 활용, 이를 저층뿐만이 아니라 중·고층 건물에도 널리 활용해 세계 시장에 적극 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이 소유한 수도권 내 유휴부지에서 충분한 실증을 거친 뒤 이를 향후 전국으로 확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하태휴 수석연구원은 내화구조에 주목, 기술력을 따라가지 못하는 낡은 제도·기준이 철골 모듈러의 고층화를 가로막는 주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현행법상 우리나라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20층 공동주택 기준 전층 3시간의 내화기준을 갖춰야 하는 반면, 영국은 높이 30m 이상 건축물 기준 최대 2시간, 호주는 1시간 30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은 피난요구시간 개념을 도입해 건물 층에 따라 내화시간을 차등 적용하는 등 보다 유연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하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모듈러 공법이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요구 수준 이상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모듈러 공법만의 특성을 반영한 내화성능 실험 및 인정제도 보완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이어 박문서 서울대 건축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이지은 LHRI 수석연구원 ▷김진성 SH 수석연구원 ▷조우현 GH 공간복지본부장 ▷조봉호 아주대 건축학과 교수 ▷김승현 포스코A&C 팀장 ▷강건우 NRB 대표 등이 패널토론을 진행, 모듈러 건축 공법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논의했다.

 

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