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와 함께 청년·신혼부부 주거부담 완화 논의


정부가 지난 25일 서울 영등포와 경기 남양주 국유지에 관공서와 청년주택, 편의시설까지 포함시킨 복합청사를 동시 개관했다.
영등포 복합청사는 영등포구 당산동 국유지 734㎡에 지어졌으며, 총 지상 14층 규모로 1~2층에 근린생활시설, 3~7층에는 선거관리위원회 청사, 8~14층에는 63세대의 청년주택이 들어서서 면적기준으로 45%는 정부가, 55%는 국민들이 사용할 예정이다.
남양주 복합청사는 남양주시 다산동 국유지 5,330㎡에 2개 동으로 지어졌으며, 남양주 선거관리위원회와 통계청 구리사무소가 건물면적의 46%를 사용하고, 청년주택 74세대와 근린생활시설로 구성된 54%를 국민들이 사용한다.
양 청사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447억원을 투입해 건립했으며, 앞으로 34년간 임대료 수입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위탁개발사업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편, 준공식에 참석한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오는 2029년까지 국유지에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3,200호를 공급하고, 특히 청년 창업인을 위해 업무공간과 주택을 같이 짓는 '주거·사무 일체형 청년주택'을 새롭게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최 차관은 청년세대와의 간담회를 갖고 청년 및 신혼부부 등의 주거부담 완화를 위해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하는 청년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최 차관은 간담회에 참석한 청년들에게 "청년주택 정보 공유 체계화, 생애주기에 맞춘 다양한 주거 시설 제공, 주거 약자를 위한 법률적 보호 등을 잘 가다듬어 앞으로 마련할 청년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