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통해 도심 내 유휴공간 활용 실마리 찾다
'스마트팜' 통해 도심 내 유휴공간 활용 실마리 찾다
  • 황순호
  • 승인 2022.11.29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연구원, 탄소중립 시대 도시농업 정책 동향 및 국내·외 사례 분석
수도권 지하철 7호선 상도역 내에 있는 '팜에이트' 전경. 사진=국토연구원
수도권 지하철 7호선 상도역 내에 있는 '팜에이트' 전경. 사진=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이 워킹페이퍼 22-23호 '탄소중립 시대 도시농업 정책 동향 및 국내외 사례 분석'을 발간, 도심형 스마트팜을 소개하며 도시정책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했다.
최근 전세계 국가들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등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변화 대응에 주력하는 상황에서, 도시농업이 환경부담 저감 및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텃밭을 수직 배치해 과밀화된 도시 내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수직 농장(vertical farm)에 대한 이론적 검증, 실험 등이 활발히 추진되는 등 최근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 기술과의 접목 또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스마트팜 확산을 농업의 향후 핵심 성장동력으로 판단해 지난 2014년부터 스마트팜 확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난해 기준 전국 2,967개 농가가 스마트팜 시설을 설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인천, 부산, 부천 등 각 지자체가 도시 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스마트팜 플랫폼, 케어팜(치유농장) 사업 등을 추진하는 사례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임상연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의 연구팀이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이 높은 생산성과 탄소저감 효과를 통해 기후 및 식량 위기에 대응하는 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도권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역의 넥스트온 어번팜, 7호선 상도역 팜에이트 등이 있으며, 해외에는 영국의 그로우업 팜, 일본의 파소나 그룹 어반팜 등 농산물 생산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에너지 절감, 농업분야 인재 육성 등에 적극 활용하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또한 최근 '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생활 스타일이 바뀌면서 지역에서 생산한 농작물의 판매 및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활용해 식료품 가공·유통·판매·배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연 연구위원은 "도시농업의 성과 확산과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해서는 도심 내 유휴공간 정보체계 구축, 마을 단위 정비사업과 도시농업 연계, 지역주민 참여 독려 및 지자체 지원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