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서울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용산공원
‘정부, 서울시, 시민’이 함께 만드는 용산공원
  • 주선영 기자
  • 승인 2016.05.30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26일 1인 소셜 방송인 ‘원순씨 X파일’을 통해 국토부의 용산공원 개발방안을 맹비난했다.
박원순 시장이 비난한 정부의 선정안은 미군기지 이전이 끝나는 내년 말부터 2027년까지 용산공원 부지에 7개 정부부처가 제안한 8개 시설을 들여놓는 게 핵심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립과학문화관을, 여성가족부는 국립여성사박물관을 이곳에 세운다. 경찰청은 서울 종로구에 있는 국립경찰박물관을 이전한다. 문화재청은 아리랑무형유산센터, 산림청은 아지타트 나무상상놀이터를 만들 예정이다.
선정안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은 이렇다. 정부부처의 개별사업을 위한 땅나눠주기식 행태라는 것. 또 초기에 무분별한 콘텐츠 시설 조성으로 인해, 향후 유사한 시설 진입을 막을 수 없게 돼 결국 난개발로 공원이 훼손 된다는 것이다.
이에 국토부는 서울시와 소통하며 조성해 갈 계획이라고 공식입장을 밝혔지만 정말 그렇게 될지는 의문이 든다. 이미 서울시가 콘텐츠 선정과 관련해 두 차례 의견을 전달했지만 크게 달라진것 없이 국토부가 선정안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또한 국토부 관계자와의 통화에서는 “미군이 이전하고 나면 약 80여 동(건물)이 남는데 빈 건물은 활용해야 되지 않겠냐”며, “그 안에 몇 개의 콘텐츠만 들어간다. 따지고 보면 전체 1~2%정도 수준밖에 안된다”고 말했다. 이걸 두고 난개발이라고 하는 서울시의 태도가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한편, 박원순 시장은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용산공원을 지키겠다는 완강한 입장이다. 그러나 국토부는 다음 달 심의를 확정짓고 현재 수립중인 공원조성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니 앞으로 용산공원 조성은 난항을 겪을 듯하다.
용산공원 조성은 시작부터 그 의미가 특별했다. 외국군이 120여년 동안 주둔해 있었기에 대한민국 서울 한복판에 있음에도 국민들에게는 미지의 땅이었다.
용산공원은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의미 있는 공간이다. 때문에 공원 조성에 있어 ‘정부-서울시-시민’의 소통이 가장 큰 핵심이었다. 그러나 국토부와 서울시의 모습은 어떤가, 그리고 시민은 어디에 있는가.
용산미국기지는 내년 말 이전계획이지만 그간 이전 시점이 계속 연기되어 왔었다. 현재도 공식화된 일정은 없다. 또한 이전 후에도 현황조사, 오염치유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공원이 조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이 있다.
성급하게 진행하기보다는, ‘정부-서울시-시민’이 하나의 주체가 돼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어느 한 쪽의 이기심도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기회의 공간’을 만들기 바란다. 
 

한국건설신문 취재부 = 주선영 기자 rotei@conslov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