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2020년 ESS시장 58조원, 선진국은 ESS로 산업혁명
[국감] 2020년 ESS시장 58조원, 선진국은 ESS로 산업혁명
  • 이오주은 기자
  • 승인 2015.09.14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하진 의원, “에너지저장기술(ESS) 등 소규모발전에 투자해야”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전하진(성남 분당을)의원이 네비건트 리서치 자료를 분석을 인용 “불과 5년 뒤인 2020년까지 ESS 시장 규모는 평균 40조, 최대 58조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 의원은 10일 산업부 국정감사에서 “해당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지난 2014년에 발표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35년까지 발전량의 15%를 소규모 분산형 전원을 통해 공급하겠다고 계획하고 분산형 전원 활성화 계획을 통해 세부방안을 확정하겠다고 한 바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주요 선진국들은 앞 다투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미국은 지난 2010년 이미 ESS 설치 의무화 법안을 제정하고 500W~1MWh 가정·중대형 ESS 설치시 투자세액의 30%를 감면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14년에 캘리포니아주 테하차피 풍력발전단지의 ‘모솔리스’ 변전소에 북미 최대 규모의 32MWh 급 ESS 구축을 완료해 현재 가동 중이다.
독일의 경우 LG화학, 삼성SDI 등과 함께 자국 최대 규모 10.8MWh 사업을 구축하고, 2020년까지 마이크로그리드의 비중을 총 전력 생산량 대비 25%까지 확대할 것으로 발표했으며, 일본은 지난 2011년 이미 자가발전량이 전체 발전량의 22.6%에 이르렀다.
이에 전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는 여전히 대형 발전이 효율적이라는 인식에 매몰돼 소규모 발전의 중요성을 실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소규모 발전이 보편화될 경우 송변전 회피비용 등 매년 3조원의 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원자력, 석탄 발전 등 대형발전의 발전단가는 유지, 관리비용 외에도 사회비용, 환경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대형발전소를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송변전 및 송전탑을 설치,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만도 지난 10년간 27조에 달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제3차 산업혁명은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주도될 것”

미국 에너지기업 ‘테슬라’는 지난 5월 소규모 에너지저장장치인 7Kwh급 가정용 배터리를 3천 달러에 출시했다.
일주일 만에 예약구매액은 8억 달러를 기록했고, 선주문량은 3만8천대에 달했다. 테슬라는 5년 뒤에는 가정용 배터리 가격을 반으로 낮추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이것이 현실화되면 전기를 외부에서 공급받을 필요 없이 자급자족이 가능하다.
석탄과 증기기관, 석유와 내연기관에 의해 각각 1, 2차 산업혁명이 주도됐듯, 제3차 산업혁명은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 즉, ESS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것이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런 기반 하에 제조업마저 분산화를 추구하는 4차 산업혁명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형국이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송전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이다. 지구 어느 곳에서나 무한대로 제공되는 태양광을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ESS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에너지비용은 거의 제로가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