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재선충병, 경기도 잣나무 노린다
소나무재선충병, 경기도 잣나무 노린다
  • 주선영 기자
  • 승인 2015.08.25 09: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후변화로 70년 뒤 소나무 사라져

한국건설신문 주선영 기자 = 소나무재선충병이 경기도에서는 89%가 잣나무에서 발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도는 잣나무 면적이 넓어서 확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연구원 김한수 생태환경연구실 초빙연구위원은 소나무재선충병 치료법 안전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경기도는 소나무재선충병이 2006년 광주시에서 첫 발생 이후 2015년 기준 광주시 등 15개 시·군에서 피해가 보고됐다.
소나무재선충병은 대응 과정에는 몇 가지 논란이 있다. 화학적·물리적 방제작업의 안전성 논란, 현재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방법의 실효성 의문, 지역 맞춤형 방제전략 부재로 일선 시·군의 어려움이 그것이다.
김한수 연구위원은 “재선충병으로 한반도의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는 위기의식에 의한 맹목적 방제작업은 지양해야 한다”면서 “소나무재선충병을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의 하나로 인식하고 소나무 멸종 공포에서 벗어나 논란이 있는 방제사업에 대한 냉정한 판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방제사업 시행 여부와 관계없이 기후변화로 한반도 소나무는 70년 뒤 사라질 전망이라는 것이다.
목표지향적 방제사업은 질이 낮아질 수밖에 없어 재선충병 확산의 원인이 되며, 국내 모든 발생지역을 100% 완벽히 방제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방제용 살충제에 대한 안전성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지만 공개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해 안전성도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
김한수 연구위원은 재선충병 방제는 꼭 필요한 일이지만 전 국토를 대상지로 보는 것에서 벗어나 포기할 곳과 꼭 지켜낼 곳을 선별해 역량을 집중할 것을 강조했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방제전략, 재선충병 DB 구축·통합관리로 방제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
김한수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잣나무 중심의 피해가 크며, 일선 시·군의 예산 부족, 전문인력 부족 구축 등의 해결을 위해 광역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