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그동안 환경훼손과 지역이기주의에 묶여 화력발전소 건설과 원자력발전소 건설의 신규 또는 증설에 있어서 환경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심한 반발로 양수발전소건설이 어려운 것을 감안하면 발전소건설 유치는 우리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유치라는 것을 등에 엎은 시행회사는 엄청난 파워(?)에 힘입어 발전소 건설초기부터 지역주민과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여타 발전소건설현장에서 보여주지 못한 모범적인 건설현장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사실 청송양수발전소 건설 현장은 환경훼손 이라는 등식을 찾아보지 못할 정도로 공원같은 분위기와 친환경 양수발전소로 건설되고 있다. 청송양수발전소가 “지역의 명물이 될 것”이라는 발전소 건설담당 책임자의 설명에서 “지역주민이 유치해준 보답으로 최선을 다 하고 있다”는 말에서 능동과 수동의 큰 차이점을 찾을 수가 있었다.
이같은 사례와는 반대로 방사능핵폐기물 유치장이 갈곳을 찾지 못하고 유치하려고 하는 지역주민과 반대하고 있는 지역주민 사이의 심각한 갈등으로까지 심화되고 있고, 심지어는 사촌간에도 상반된 의견이 있어 그 후유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다하다 못한 정부가 유치를 원하는 자치단체에서 주민투표로 결정한다고 하여 현재 군산시, 경주시, 포항시, 영덕군이 경합을 벌이며 다음달 2일 투표를 실시하여 주민의 1/3 이상이 투표해 찬성률이 높은 곳으로 선정된다.
하지만 이 역시 그 후유증이 심각할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청송양수발전소 건설이 지역주민이 유치한 결과, 지역의 경제적 보탬은 제외하고라도 시행회사는 ‘할 수 있는 것은 뭐든 한다’라는 신념으로 건설할 때 ‘작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공무부장은 자신감이 넘쳐나고 있다.
국가 시설물인 방사능폐기물매립장건설이 어쩌다 주민투표까지 가게 되었는지.
우리는 청송양수발전소건설을 국내 최초로 유치한 사례를 보면서 그것은 분명 그렇지 않은 곳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읽을 수가 있다.
방사능폐기물매립장건설, 포화상태에 이른 임시 저장고에 있는 폐기물.
양수발전과 방폐장은 많은 차이가 있지만 성숙된 국민성으로 모범 된 사례를 또 한번 기대해 본다
염희선(취재2팀)
저작권자 © 한국건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