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칼럼] 정원은 미래가 될 수 있다
[조경칼럼] 정원은 미래가 될 수 있다
  • 김태경 한국조경학회장
  • 승인 2023.02.21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원활동,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심신 치유에 큰 기여효과 거둬
소유주-고용인이 아닌 장소로서의 정원, 주인이 곧 정원사가 돼야
김태경 한국조경학회장.
김태경 한국조경학회장.

3년 전 생명체로도 분류되지 않는 어떤 놈이 최상위 포식자들의 관계맺음에 경고를 보냈다. 
환경의 문제인지 인간 자체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조경은 물론 사회 전 분야를 위기로 몰아넣은 것이다.
1천일 정도가 지나고서야 느리긴 하지만 여러 분야에서 그 위기로부터 조금씩 벗어나고 있는 지금, 조경계는 과연 어떤 준비와 전략을 세우고 있는지 궁금하다.
지난 3년간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했다는 공원과 정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조경이라는 말이 있기 전까지의 인간이 만든 녹색공간은 모두 정원이었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적어도 옴스테드가 건축가(Architectect)에 조경(Landscape)이라는 말을 붙이기 전까지는 그랬다.
조경이 우리 모두에게 통용되는 지금은 번듯한 직업이 되었다. 공공정원(public garden)인 공원(park)과 함께 조경가라는 새로운 직업이 만들어지고 이젠 150여년의 시간이 지나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지금까지 각종 박람회장에 설치된 기획정원은 ‘작가정원’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이것을 공원의 개념으로 보면 공간 혹은 시설 프로그램의 특정유형이므로 ‘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의 탄생이 아니라 조경이라는 직업군 속의 하나로 이해하면 충분할 것이다. 

정원의 개념을 잠시 돌아보자. 
둘러싸고(gan) 즐거움(oden)을 주는 곳이 정원(garden)이라고 하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게임방이나 만화방 혹은 노래방, 심지어는 커피숍 등도 정원으로서의 자격을 충분히 갖추고 있지 않은가? 
여기에 필자는 둘러쌈과 즐거움에 더해 노동력과 생산물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생기는 피로감(작업에 따르는 근육통 등)도 포함시키려 한다. 
어디까지나 필자의 경험에서 나온 필자만의 기준이기는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크게 반대하는 사람은 만나보지 못했다. 작업 후의 통증은 마라톤을 즐기는 사람들에게서 생성되는 아드레날린과 도파민 등으로 비교할 수 있는데, 가드닝에 따르는 통증도 틀림없이 그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마도 치유정원의 가치도 여기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AI가 활약을 하고 메타버스(Metaverse)라는 새로운 차원이 공간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며 코로나19라는 전염병이 인간관계를 단절시키는 예측 불가의 세상에서 대중문화와 만난 정원은 인간에게 의외의 우군이 될 것 같아 자못 기대감이 커진다. 
소유물로서의 정원, 재력과 권력의 상징인 정원, 소유주와 고용인으로서의 정원사보다는 행위를 담는 장소(place)로서의 정원, 주인이 바로 정원사인 상황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정원의 본모습이어야 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헤르만 헤세는 스스로를 정원사로 불렀다. 한 때 주변으로부터 펜을 놓고 사회와 등을 진 보잘것없는 농부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자신의 행동에 대하여 한 번도 후회하지 않았던 진정한 가드너였다. 
'유리알 유희'를 구상한 것도 모차르트 음악이 은은히 들리는 정원에서의 일과 중에서였다고 한다. 화가이기도 했던 그가 가장 오래 그리고 가장 늦게까지 붙잡고 있었던 일은 정원관리였을 것이다. 
아버지를 통해 가드너로서의 자질을 이어받음으로써 생활과 가드닝이 일체화되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가드너 활동이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인류위기 극복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정리=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