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곳에는 언제나 유니슨이 있다
바람이 불어오는 곳, 그곳에는 언제나 유니슨이 있다
  • 황순호 기자
  • 승인 2023.01.30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풍력발전산업 선도하는 전문기업 ‘유니슨’
풍력에너지 시장 연평균 성장률 31.5% ‘블루오션’
화합・조화・일치 3대 가치 아래 뭉쳐 미래로 나아간다

유니슨은 국내 최선의 설비와 최고의 기술을 바탕으로 풍력 발전사업개발, 풍력발전기자재 개발 및 공급, 풍력발전사업 PF(Project Finance), 풍력발전단지 건설, 발전(전력)사업, 풍력발전단지 유지보수까지 풍력발전산업 전반의 노하우를 갖춘 풍력발전전문 기업이다. 

지난 1984년 9월 24일 설립 후 1993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 2005년 40㎿ 영덕풍력발전단지(40㎿) 및 이듬해 강원풍력발전단지(98㎿) 준공 이후 2008년 6월 경남 사천에 연면적 29만㎡ 규모의 풍력터빈, 풍력타워 공장을 조성해 연 500㎿ 규모의 풍력발전기 완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영광 백수풍력단지. 사진 제공 = 유니슨
영광 백수풍력단지. 사진 제공 = 유니슨

◼ 풍력발전, 재생에너지 시장 선도할 핵심 자원 ‘급부상’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위기가 불거지면서 탄소중립 등을 통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를 적극 육성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바이든 정권이 출범한 이후 오는 2035년까지 전력 부문에서, 2050년까지 전 부문에서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향후 5년간 풍력터빈 6만개, 관련 정책에 약 2조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 역시 2030년까지 탄소감축비율을 40%에서 60%으로 상향하기로 했으며, 한국도 지난 2020년 12월 탄소중립선언을 발표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천명했다.

이에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등 향후 신규 발전설비 투자 역시 재생에너지에 집중될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해상풍력의 경우 제조업・건설업과 연계성이 크며, 고용 유발효과가 큰 만큼 지역경제 활성화에 적격인 발전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2020년 신규 풍력 설비는 93GW, 누적 풍력설비는 총 743GW로 전년 대비 약 53% 증가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증가했으며, 지난 2011년부터 10년간 육상풍력과 해상풍력의 연평균 증가율도 각각 13.1%, 27.3 %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균등화 발전비용(LCOE)의 급감으로 전 세계적인 에너지전환이 빠르게 추진됨에 따라 해상풍력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31.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훈풍’이 불어오고 있다.

◼ 유니슨 및 풍력발전 산업구조 현황

유니슨은 ▷IPP 사업 ▷EPC 사업 ▷제품 사업 ▷운영, 유지보수 사업(O&M) 등 4개 영역을 기반으로 풍력발전시스템의 제조 및 사업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O&M 사업의 경우 고객사의 수요에 따라 풍력발전단지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SCADA)까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총 258기 551.7㎿ ▷자메이카 ▷미국 ▷우크라이나 ▷세이셸 ▷일본 등 총 8개국에서 37기 46.8㎿의 풍력발전 설비를 관리하고 있다.

또 블레이드, 타워, 허브 시스템, 증속기, 피치 시스템 등 8,000여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풍력터빈(WTG)의 완성품을 제작 및 납품하고 있으며, 특히 발전기와 타워를 자체 개발・제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풍력터빈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 및 제작되는 핵심 부품들은 그 수요가 부족해 국내 생산기반이 취약하며, 소량 생산방식으로 인해 부품 조달에 따른 원가 절감 기회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풍력터빈을 자체 생산하고 있는 국내 기업은 유니슨과 두산에너빌리티 단 2개사에 불과하다.

이에 유니슨 관계자는 연간 100대식 계획 생산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원가를 20% 절감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시장의 수요 확대가 필요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 유니슨의 제품 소개

2.3㎿ U113 모습.
2.3㎿ U113 모습.

유니슨의 제품은 ▷U88E ▷U93(이상 2㎿) ▷U113 ▷U120(이상 2.3㎿) ▷U136 (4.2㎿) ▷U151(4.3㎿) 등의 라인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U120은 2.3㎿ 규모의 풍력발전기로 기존의 U113 모델을 개량해 고온 운전 및 약계통 제어 알고리즘과 소음 저감을 위한 TES를 적용해 베트남・태국 등 동남아시아 내 6.5㎧ 미만의 저풍속 지역에 최적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더불어 국내 최대 해상풍력용 10㎿급 U210 모델에 대한 연구를 추진, 연내 시제품 설치 및 시험인증 획득 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U210은 직경 210m의 로터로 저풍속 모델로 구성돼 있으며, 풍속 4㎧에서 발전을 시작해 11~25㎧에서 10㎿ 정격출력을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평균 풍속 7~8㎧ 구간에서 이용률 약 39~48%로 연 3만3,000~4만㎿h의 전력을 생산하며, 너클 붐 크레인(Knuckle Boom Crane)을 이용해 나셀 전 부품을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터뷰] 조환익 유니슨 회장

“국내 풍력발전 업체 자생여건 마련해야”

<b>ㅇ</b>
조환익 유니슨 회장.

- 현재 국내 풍력발전 시장에 가장 시급한 것은 무엇인가.

지금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바로 ‘풍력주권’을 찾는 일이다.

우리나라는 지난 2020년 7월 ‘대규모 해상풍력 추진 로드맵’을 수립, 2030년까지 12GW 규모의 풍력발전 설비를 확보해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으로 성장, 2034년까지 이를 20GW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또 2021년 10월 신재생에너지의 의무공급비율을 10%에서 25%로 상향하는 등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늘리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 풍력발전 시장은 지리적・군사적 특성상 그 수요에 한계가 존재, 이로 인해 내수시장 확대 지연 및 기술・가격 경쟁력 열세 등의 문제로 인해 주요 핵심 부품을 국내에서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풍력발전 설비들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핵심 부품들을 해외에서 수입하느라 국내 시장의 수익성이 점점 떨어지고, 이로 인해 국내 생산기반 역시 점차 위축되고, 이로 인해 기술 연구 및 개발 등에 차질이 빚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 이를 해결하려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이제는 정부가 풍력발전에 대한 장기적・지속적인 산업육성 플랜・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가장 먼저 각종 규제 및 절차를 간소화해 불필요한 행정 비용 소모를 절감하고, 국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입찰시 가점 부여 등 국내 사업자들이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등 민・관이 함께 풍력발전 시장의 발전을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다. 또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국내 사업자들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하는 등의 ‘소통’ 행보가 뒷받침돼야 한다.

이와 더불어 UAE의 ‘네옴시티’처럼 대규모 친환경 에너지도시 조성 플랜 등 ‘큰 그림’을 그림으로써 ‘경쟁’을 통해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선순환 체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달 5일 열린 제1회 스마트에너지시티 액션포럼에서도 ▷청정에너지 기반 스마트시티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민간 투자를 통한 경제・수익성 확보 ▷정부의 규제 Free 샌드박스 확충 등이 스마트시티 조성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연설한 바 있다. 풍력발전, 특히 해상풍력이야말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지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력으로는 적절한 투자만 이뤄져도 네옴시티 못지않은 친환경 에너지도시를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다.

- 정부 및 기타 업계 등에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앞으로 풍력발전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른 신재생에너지, 특히 원전과의 적극적인 동행이 필요하다.

혹자는 방사능의 위험성 등을 이유로 ‘탈원전’을 부르짖는 등 마치 원자력이 위험하고 비효율적인 에너지원인 양 호도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원자력은 풍력발전과 더불어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움직이는 존재로, 대립이 아닌 협력을 통해 함께 나아가야 하는 동반자적 존재다.

상술했듯 정부가 장기적・지속적인 산업육성 플랜・지원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정치’의 영역으로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정부는 어느 정당이 정권을 잡느냐에 따라 ‘전 정권 지우기’라는 명목으로 전 정권이 추진하던 정책들을 부정하는 과오를 저질러 왔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는 정치가 아닌 ‘과학’의 영역에 있으며 정치적 성향에 치우쳐 독선적인 정책을 펴서는 결코 장기적인 안목을 기를 수 없다.

 

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