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건설경기, '중국'이라는 변수를 최소화해야
2022년 건설경기, '중국'이라는 변수를 최소화해야
  •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승인 2022.01.21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철강 공급 감소로 자재 수급에 큰 어려움 겪어
특정 물량 대해 국내 생산 라인 확보해 수급난에 대비해야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 연구위원.

지난해 국내 건설수주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2021년 수주가 완전히 집계가 되지는 않았지만, 11월까지의 수주량에서 이미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한 181.9조원을 기록하고 있다.
평년 연말 수주가 대략 20~30조원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2021년의 최종 수주액은 최소 200조원, 다시 한번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이 추세라면 올해 역시 무난하게 200조원을 돌파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기대해 본다.
본 연구원에서는 2022년 수주를 0.2% 증가한 214.8조원으로 전망하였는데, 특히 대도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비롯해 국가 철도사업의 발주가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업이야말로 코로나19로 인해서 어려운 국내 경제를 선두에서 이끌어주는 고마운 존재다.
다만, 실제 공사를 진행하고 수익을 내야 하는 건설사 입장에서는 역시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올해 건설사들 입장에서는 무엇이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될까. 필자는 지난 1월 11일에 발생한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보면서, 오는 27일 시행을 앞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클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공사현장이 많은 대형 건설사들이 법 적용에 불리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에 비해 규모가 작은 중견, 중소 기업들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자재의 수급과 자재가의 변동성이 커져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렇다면 자재 시장에 있어 가장 큰 변수는 무엇일까? 필자는 가장 큰 변수가 바로 '중국'이라고 생각한다. 지난해 철근 수급이 어려워지고 철근 자재 가격이 전년에 비해 두배 이상 급등하였다. 이 원인은 중국에 있다. 중국이 공장의 생산을 줄이고 자국내 수출을 규제해서, 전세계 철강 공급량이 급격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전세계가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서서히 회복하면서 철강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세계 철강 공급량의 50% 이상을 책임지던 중국 기업들이 인위적으로 생산을 줄이고, 수출도 줄인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이로 인해 올해 국내 제강사들의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내수가 회복되는 상황에서, 필요한 자재를 과연 얼마나 공급받을 수 있을지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중국이 베이징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공장 생산을 줄였다고 한다. 그 밖에도 자국내 과열된 부동산 경기를 잠재우고, 요동치는 투기 시장을 잠재우고자 잘나가던 부동산 회사도 멈추게 하고, 그만큼 불필요해진 자재의 생산을 사전에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만약 중국이 갑작스레 생산량을 대규모로 늘려 버린다면, 국내 기업들은 과잉 생산에 대한 손해를 고스란히 짊어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국내 제강사들은 최대한 생산량을 쉬이 늘리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작년 급등한 자재 가격이 바로 조정되기도 쉽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강사들의 이러한 생산 전략은 건설업뿐만 아니라 조선, 자동차 제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의 생산량이 예상에 못 미쳐서 전세계 공급량이 다시 줄어들면 내수에 필요한 물량 확보에도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국내 기업이 특정 물량은 내수로 돌리도록 정부가 직접 쿼터를 정해주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건설과 조선, 그리고 자동차 산업에서의 철강량의 일정 부문을 미리 확보하여 내수에 문제가 없도록 조율한다면 자재 수급의 안정화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가격이 높아지면 더 많이 생산하고 낮아지면 생산이 감소한다. 그것이 시장의 이치다. 그러나 중국은 중앙 정부에서 생산을 통제하고 있으며,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시장의 이치를 무시하고 생산량을 제멋대로 조절하기도 한다. 우리는 이를 이해하고 경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변화하는 정책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가운데,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특정 품목에 대해서는 중국의 급변하는 대안을 마련해 일정부분 다각화를 통하여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도 필요한 방법이 아닐까 한다. 불확실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올해인 만큼, 이럴 때일수록 정부가 확고한 리더십을 통해 시장과 국민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정리=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