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진단] 0.25%p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시장 영향
[부동산 진단] 0.25%p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시장 영향
  •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 승인 2022.01.14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올해 첫 한은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결정됐다. 
0.25%p 인상으로 지난해 11월 25일 이후 2개월 만에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이는 2020년 2월 기준금리 1.25%와 같은 수치로 코로나19 발생 무렵 기준금리 수준으로 회귀하는 셈이다. 
現 주택담보대출 금리는(’21.11월) 신규취급액 기준 3.51%, 상호저축은행 기준 4.79% 수준으로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차주의 이자부담은 향후 더욱 커질 전망이다. 
2021년 11월 현재 가계대출 금리별 비중은 3%미만이 28.7%, 3~5%미만이 64.5%, 5%이상이 6.8%를 기록 중이며, 이중 8%이상 대출자는 2.3%나 된다.
특히 중·고금리 대출자의 이자상승 체감이 앞으로도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실제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해 7월은 3%미만 대출이 72.2%, 3~5%미만 23.2%, 5%이상이 4.6% 비중을 나타냈었다. 
4개월 만에 3%미만의 저리대출 비중이 43.5%p 급감하고 3~5%미만의 중금리 대출자가 41.3%p 급증했는데 이는 2차례의 기준금리 인상만으로도 차주의 이자부담이 단기에 얼마나 커질 수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고 판단된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의 증가 속도는 둔화될 전망이나. 차주별 DSR규제와 금융권의 우대금리 축소 움직임 등이 맞물리며 부동산 구입심리가 제약되고, 주택 거래량을 감소시킬 요인이 될 것이다. 
주택시장의 매매가격 상승속도 둔화로 가격상승을 주도하던 수도권 주요 지역도 보합국면을 나타낼 가능성이 열려있다. 
특히 3월 대선을 앞두고 세제, 공급 등 신정부의 부동산 정책변화 가능성이 모두 열려있는 만큼 수요자의 주택구입의사 결정은 한동안 숨을 고를 전망이다. 
금리인상, 여신축소가 가계 이자부담 및 채무상환 부담을 증가시키고 수요자의 위험선호 약화로 이어져 결국 부동산 구매수요 관망과 자산가격 상승 둔화, 거래량 감소, 지역 및 상품별 시장 양극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소득과 상환능력 하에서의 대출 운용이 중요해 질 것으로 판단되고, 무분별한 주택구입보다는 대기수요가 꾸준한 신축이나 교통망 예정지, 공급희소성이 지속될 수 있는 지역 위주로 매입·청약수요가 제한되며 지역별 양극화가 커질 수 있겠다. 
상가, 오피스텔, 도시형생활주택, 생활형숙박시설, 지식산업센터 등 임대수익 목적의 비아파트 틈새상품들은 금리인상에 민감하고 투기수요를 차단하기 위한 정부정책 변화에 주목할 필요 있다. 
배달플랫폼 및 온라인 쇼핑 확대로 전통적 상권의 개념이 퇴색된 데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과 제2금융권의 여신강화(‘22년 1월부터 제2금융권의 차주단위DSR 기준 60%→50%로 하향조정), 투기수요 억제(생숙 실거주 불가, 도생은 공동주택으로 세금, 대출 규제 아파트와 동일) 등이 이자 부담 증가와 겹치며 투자환경(임대수익)을 제한할 수 있는 만큼 보수적인 자산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정리=한국건설신문 김덕수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