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디지털전환, 중소건설업 지원정책에서 시작
건설업 디지털전환, 중소건설업 지원정책에서 시작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영덕 선임연구위원
  • 승인 2021.10.07 11: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김영덕 선임연구위원.

‘디지털 경제’ 혹은 ‘디지털 전환’이라는 말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생소했다. 그러나, 이젠 피부로 느낄 수 있을 만큼 그 확산세가 빠르다. 유럽, 미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의 디지털 경제 촉진을 위한 정책 마련과 법률 제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디지털경제동반자협정(DEPA)’ 가입을 추진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 중에 있고, 최근 과기부가 발표한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지표를 보면, 테이터산업 시장규모는 1년새 3조원까지 성장해 2020년 기준 19조원을 넘어서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가입자수는 19%,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은 14%이상이 늘어 그 속도도 빠르다.
기업에 있어 ‘디지털 전환’은 이젠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직접적인 디지털 관련 산업에 속한 기업들뿐만 아니라 대부분 기업의 생산, 유통 그리고 경영관리에 이르는 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필수적인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 건설산업에 있어도 디지털 전환에 대한 기대가 크다. 사실상 건설산업은 오래전부터 ‘건설산업의 정보화’라는 이름으로 다른 어느 산업보다도 빠르게 ‘건설 CALS(건설사업정보시스템’,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현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건설’즉, 각종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건설산업의 스마트화를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와 생산성 향상에 있어 스마트건설기술이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토부가 ‘제6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의 목표를 “스마트건설 2025”로 설정하고, ‘스마트건설기술 로드맵’을 2018년 10월 발표한 이후 스마트건설지원센터의 설립, 스마트건설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2천억원 규모의 연구개발사업 추진은 물론, ‘스마트 건설기술 대전’ 등 관심을 유도하기위한 행사가 지속 추진 중에 있으며, 스마트건설기술 시범사업이 본격화 되고 있다. 
이에 공공발주기관과 기업들도 발 빠르게 스마트건설기술 확보 및 역량 구축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대형사들을 중심으로 스마트기술 개발 및 자체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공공발주기관들은 스마트건설기술 상용화 및 건설현장 관리에의 적용을 위한 제도 및 기술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설기업 등 현장에서의 스마트건설에 대한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대기업들은 기술투자보다는 영업활동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중소기업들은 역량 부족으로 인하여 기술개발이 부진하다.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기대가 높은 반면, 스마트기술 활성화를 위한 규제 해소를 위한 정책, 제도 개선 노력은 여전히 미흡하다. 그러나, 스마트건설기술의 활용이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지금까지의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 등의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정부 주도형 스마트건설 활성화 정책, 스마트건설 관련 몇 개의 시범사업, 대형, 중견기업 등 일부 건설기업 중심의 기술개발로는 실질적인 스마트건설의 산업 전반의 확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실질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중소건설기업의 스마트화,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 유도와 중소건설기업의 사업 및 경영관리 상 특성에 맞는 스마트건설기술 개발 그리고, 스마트건설사업 참여에 대한 정책적 지원 등이 필수적이다. 
2019년 기준으로 이월공사를 포함한 전체 건설공사 계약건수 11만 8천여건 중 95% 즉, 11만 3천여건이 100억 미만의 중소규모 공사다. 이는 스마트건설기술을 통한 건설공사의 생산성 혁신과 건설사업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중소건설업에 대한 스마트화, 디지털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잘 보여준다. 
또한, 2019년 말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스마트건설기술에 대한 현재의 도입 현황에 대하여 건설기업은 평균적으로 83.7%가 스마트건설기술을 도입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고 있으며, 향후의 도입계획에 대해서도 평균 67.2%가 아직 도입계획이 없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중소건설기업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자체적인 스마트건설 역량 확보와 기술적 투자에 한계를 갖고 있는 중소건설기업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스마트건설이 성장하는 방향은 지금으로선 단정하기 힘들다. 스마트건설에 대한 명확한 건설산업 내 개념적 정립과 스마트 관련 요소기술을 활용한 자체적인 기술개발이 없다면, 건설업은 스마트라는 큰 영역 내 작은 영역의 한정적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전략할 수밖에 없다. 
또한, 지금의 디지털 전환의 양상을 볼 때, 건설산업에 있어 디지털 전환은 시간적으로나 내용적으로 아주 근접한 현실이다. 이렇게 볼 때, 디지털 전환은 우리 건설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중소건설업의 새로운 위기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에서는 중소건설업의 빠른 디지털 전환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다.

 

정리=한국건설신문 황순호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