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 칼럼] 하도급법 위반행위 결과가 해소되면 시정명령도 취소돼야
[변호사 칼럼] 하도급법 위반행위 결과가 해소되면 시정명령도 취소돼야
  • 김지혜 법무법인 산하 기업법무팀 수석변호사
  • 승인 2021.06.28 1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지혜  법무법인 산하 기업법무팀 수석변호사
김지혜 법무법인 산하 기업법무팀 수석변호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하 ‘하도급법’)에서 하도급대금 지급 의무에 관한 규정(제13조 참조)은 수급사업자의 기업 활동 유지를 보장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규정이다. 

이 규정에 따르면 원사업자는 하도급대금과 선급금을 하도급법에서 정해진 기일 내에 지급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원사업자는 목적물의 수령일로부터 60일 이내에, 발주자로부터 대금을 지급받은 경우에는 그 지급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하도급대금을 지급해야 한다. 

만약 원사업자가 위의 규정에 위반해 기한 내에 하도급대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이에 대한 지연이자를 지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하도급법 제25조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원사업자가 기한 내에 하도급대금을 지급하지는 않았으나, 기한이 지난 후에라도 하도급대금 및 그에 관해 발생한 지연이자를 모두 지급했다면 어떨까. 

과연 이러한 경우에도 시정명령이 내려질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이런 경우 시정명령이 나와서는 안된다. 

대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하도급법 제25조 제1항에 의한 시정명령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하도급대금의 발생 및 지급지연과 같은 제13조 등의 위반행위가 있었는가를 확인함에 그쳐서는 안된다.

 나아가 그 위반행위로 인한 결과가 그 당시까지 계속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비록 법 위반행위가 있었더라도 하도급대금 채무의 불발생 또는 변제, 상계, 정산 등 사유 여하를 불문하고 위반행위의 결과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그 결과의 시정을 명하는 내용의 시정명령을 할 여지는 없다고 분명히 밝힌 바 있다(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1두3099 판결 참조).

즉, 비록 기한 내는 아니지만 시정명령이 있기 전에 하도급대금 및 그에 관해 발생한 지연이자를 모두 지급하는 등으로 위반행위의 결과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면, 시정명령은 내려지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시정명령은 형사 처벌과 같이 벌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법 위반행위를 바로잡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행정처분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당연한 결론이다. 

따라서 원사업자는 하도급법 위반행위를 했더라도 이후 그 위반으로 인한 결과를 임의적으로 해소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시정명령 및 이에 따른 부가적인 제재들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한국건설신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