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칼럼] 미래에도 사랑받는 조경
[조경칼럼] 미래에도 사랑받는 조경
  • 최영준 Lab D+H 대표
  • 승인 2021.05.27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영준 Lab D+H 대표.
최영준 Lab D+H 대표.

최근 여러 도시재생 프로젝트나 재개발, 대수선 사업들을 살펴보면서 유행 또는 장식이라는 미명 아래 당시에는 나름의 주연 역할로 힘줬던 디자인 요소들이 지금은 슬픈 모습을 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건축물을 기획하며 100년을 이어갈 건물이라는 표현은 자주 듣지만, 조경의 생애주기는 생각보다 길지 않은 듯 보인다. 

전국 보도포장은 지자체의 잉여 예산으로 늦가을마다 뒤집힐 상황에 처하고, 중요한 위치의 랜드마크 오픈스페이스가 정치적 판세와 그 운명을 함께하기도 한다. 개발계획 앞에서 무참히 제거되는 수목들에게는 늘 미안한 마음이다. 슬픈 농담식 표현이지만, 시공현장에서는 앞으로 2년만 버티면 된다며 하자보수 기간까지만을 기약하기도 한다.

“외부환경에서 내구성에 취약한 조경재료와 유행 앞에서 다분히 종속적인 조경의 생애주기는 그렇게 짧고, 수동적일 수밖에 없는 운명일 것인가? 지속가능한 트렌드가 존재할 수 있는가? 능동적이고 생명력 있는 흐름은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가?”란 질문을 품게 된다.

생애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은 조경 시설물에 대한 투자는 완공 직후부터 하향곡선을 그리는 것에 반해, 식재의 가치는 나무의 성숙과 함께 지속적인 상승곡선을 이룬다. 녹음의 장기적 지속성뿐 아니라 미세먼지 저감 등의 환경적 건강함과 아름다움도 가져다준다. 조경의 더 영속적인 가치는 어떤 조경요소를 통해서 발현되는 것인지, 조경 투자의 효용가치가 장기적으로 높으려면 조경제안이 어떤 지점에 주안점을 둬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조경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나무 심는 일’이란 대답을 가장 기피하면서도, 우리 조경인들이 과연 ‘나무심기’를 얼마만큼 책임 있게 실행해왔는지, 그 가치를 통시적으로 인식하는지를 묻고 싶다. 충분한 식재기반 마련을 위한 토량과 토질을 준비하고, 적절한 관수와 배수설비를 적용하면서도 우수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기술적 노력 등 건강한 나무심기를 위한 지혜가 설계 및 시공과정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강조돼야 한다. 

조경분야가 지구를 건강하게 하는 직능으로 인식되고 조경공간이 더 영속적인 가치를 양산하게 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식물생장 환경조성’이 조경의 전문성을 키우는 일의 근본이자, 조경으로 지속가능한 가치를 배양해가는 길이 될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장소에 대한 소비와 관심이 높아지고 외부공간의 구현이 그 필수조건이자 개발의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도 하면서, 식물들의 설 자리, 자연에 대한 가치가 더욱더 강조돼 간다. ESG개발 비전이 일반화되면서, 조경이 장식적 녹색치장이 아니라 사회를 위한 가치 실현의 중심 소재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몇몇 선구적인 작품과 여러 프로젝트를 통한 고민의 집합적인 결과물로 ‘자연주의’라는 키워드가 중심이 되어가는 분위기가 매우 고무적이다.

조경 정체성의 본질은 도시 속에서 자연에 대한 레트로이고, 우리가 실현하는 조경공간 제안의 핵심은 동시대에 맞는 외부공간의 뉴트로를 만들어 가는 것이라고 본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가장 좋은 조경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 그 답은 늘 가장 본질적인 가치에 대한 재발견에서 찾는다. 조경의 시작과 본질은 자연에 있고, 그 자연을 진하게 구현해 인상적이면서도 편안하게, 그야말로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하는 조경이 가장 미래적이고 슬기로운 조경이라 믿는다.

 

정리 = 한국건설신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