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있으며 많은 학자들은 이 또한 기후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지금은 기후변화의 시대를 넘어 기후위기, 기후 비상사태에 앞으로 어떤 재난들이 또 닥쳐올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제는 기후변화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손실과 팬데믹의 확산 등으로 무엇보다도 자연의 법칙과 멀어진 관계를 회복시킬 때이다.
글로벌 그린뉴딜의 작가 제러미 리프킨은 코로나19 위기의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하면서 탈 화석연료 문명과 그린뉴딜을 강하게 제안했다. 우리나라도 올해 7월 일자리 창출과 경제・기후・환경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 전략으로 그린뉴딜을 발표하였다. 조경 분야의 일자리창출은 어떨까? 조경 분야는 기후변화시대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국민생활과 밀접한 공공시설 제로에너지화의 그린 리모델링, 스마트그린도시, 도시숲 조성과 도시 및 생태계복원 사업 등에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그린빌딩 협회(WorldGBC)는 전 세계적으로 건물과 건설과 관련된 CO2 발생량이 전체 배출량의 39%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기후변화와 UN이 제시한 지속가능목표(SDGs)를 위해 건축물의 그린 빌딩으로의 전환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2030년까지는 신규 건축물, 2050년까지는 기존건물 포함 모든 건물의 탄소배출 중립을 통해 물과 폐기물의 순환을 포함한 넷제로 사회구현을 위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그린뉴딜은 일자리 창출에 있어 산업이나 기술적인 측면이 우선시 되고 있으나, 생태계복원과 생물다양성 그리고 우리나라 인구의 약 92%가 사는 도시의 그린 인프라 확대를 통한 자연성에 기반한 도시환경개선에 좀 더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 유럽 생물다양성 전략 2030에 따르면 유럽의 Natura 2000네트워크는 미래에는 생물다양성을 위해 50만개의 일자리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EU예산의 25%는 기후행동, 그 중 많은 부분이 생물다양성과 자연에 기반한 해법을 위해 할애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두 번째 지구는 없다’의 저자 타일러가 인공 환경 속에서 자연과 연이 끊어진 인간이 아니라 인간이 자연의 일부이며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지목한 것처럼 우리는 자연을 대하는 접근방식을 바꾸어야 할 것이다. 최근 태풍으로 인해 급경사 산지에 무분별하게 개발된 태양광시설들이 무너진 것을 언론을 통해 접할 수 있다. 이처럼 한 가지 측면만을 강조하다가 탄소흡수원인 산림을 오히려 훼손하고 더 많은 손실을 가져오는 결과를 초래한다.
미래에는 다기능성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그 예로 농업과 태양광시설의 상생인 영농형태양광(Agrophotovoltaic)이 있지만 이 또한 난개발이 되지 않도록 재생에너지 생산을 위한 입지선정과 경관, 생태계 등 평가 분석에 조경분야가 참여해 윈윈할 수 있는 방법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2050년 탄소중립사회인 ‘넷제로 사회’로 접어들기 위해서는 조경분야의 융복합적인 환경・생태디자인이 더욱 필요하다. 도시의 수순환 개선을 위해 LID기법이 활용되고 있듯이 녹지의 미세먼지 흡수 능력이나 탄소 흡수원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 제시를 위한 공학적 기법 활용으로 폭을 넓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도시숲, 기후숲, 도시공원 조성과 더불어 벽면・옥상녹화 등 건축물녹화의 안정된 기술정착을 통해 도시 녹지의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중요한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지속가능한 도시환경과 공동체, 그리고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건강과 복지를 위해 녹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도시에서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고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다기능적 접근을 한다면 미래 탄소중립사회인 ‘넷제로 사회’에서 조경분야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