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장 22만1,535여개 면적 '그린벨트'가 사라졌다
축구장 22만1,535여개 면적 '그린벨트'가 사라졌다
  • 이오주은 기자
  • 승인 2018.08.14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70년대 53억9,711만㎡에서 2017년말기준 38억4천635만㎡만 남아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 박정희정권 때인 지난 1971년부터 1977년까지 8차례에 걸쳐 지정된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지정면적(53억9천711만㎡)이, 40여년이 흐른 2017년기준 1/3가량인 15억5천75만6천㎡가 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의도 면적(4.5㎢)의 345배, 축구장(7천㎡) 22만1천535개 면적의 그린벨트가 해제된 셈이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도가 2억9천440만㎡로 전국에서 가장 넓은 그린벨트가 해제됐다. 그 다음으로 경남이 2억5천988만4천㎡으로 문재인정부 들어서인 2017년에만 303만2천㎡이 해제됐다. 다음이 전북으로 2억2천540만㎡, 충북이 1억8천270만7천㎡, 부산이 1억3천782만8천㎡, 경기도가 1억3천110만7천㎡ 순으로 각각 해제됐다.

국회 김상훈 의원(사진)에 따르면 그린벨트는 2000년대 들어 개발 붐이 본격화되면서 해제되기 시작했다. 해제된 전체 15억5천75만6천㎡ 중 이명박(2008~2012), 박근혜 정부(2013~2016)때 해제된 면적은 각각 8천832만6천㎡과 1천982만6천㎡으로 전체의 8%도 안 된다. 그린벨트 전면 조정은 ‘그린벨트 전면 해제’를 선거공약으로 내걸었던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됐다.

그 결과 2001년8월 처음으로 제주권의 그린벨트가 전면 해제됐고, 2002년 12월까지 강원 춘천, 충북 청주시, 전남 여수ㆍ여천권 등 4곳의 그린벨트가 전면 해제됐다. 노무현 정부 들어서도 2003년6월 전주에 이어 10월에 진주, 통영 지역의 그린벨트가 해제돼 정부가 전면 해제하기로 결정한 7개 중ㆍ소도시의 그린벨트 해제절차가 이뤄졌다. 아울러 수도권과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마산, 창원, 진해권 등 나머지 7개 대도시권역은 부분해제지역으로 지정됐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수도권 그린벨트 해제 결정이 속속 추진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수도권 그린벨트 일부를 공공택지로 개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신규 공공택지 후보지 중 경북 경산을 제외한 수도권 8곳(480만4천㎡)의 공공택지 후보지에는 그린벨트가 포함돼 있다.
이 중 70%인 336만1천㎡ 가량이 현재 그린벨트에 묶인 곳으로, 가장 면적이 넓은 남양주 진접2의 경우 46%인 58만8천㎡가 그린벨트다. 하지만 이러한 ‘수도권 규제완화’는 참여정부 시절부터 지속 추진하고 있는 국토균형발전 정책과 반대로 가는 것이다. 그런데도 난개발을 비난하던 시민단체들은 입을 다물고 있다.

김상훈 의원은 “과거 2000년도에 우리나라 인구가 4천463만명에서, 18년이 흐른 올해 5천163만으로 늘었다고는 하지만, 그간의 그린벨트 해제는 잘못된 도시 확장정책 탓인 만큼, 압축도시 정책을 통해 마구잡이식 그린벨트 해제를 충분히 막을 수 있다”며 “그런데도 현정부가 여전히 팽창적 도시정책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수도권 중심의 그린벨트 해제정책을 이어가려 한다는 것은 매우 우려스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갈수록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 마당에 자꾸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난개발 방식으로 주택을 공급하려는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도시의 인구와 기능을 都心으로 모아가는 압축도시 정책으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으로 보존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 <표> 전국 지역별 그린벨트 현황 및 최근 10년간 해제현황 (‘17.12월말 기준, 단위 : 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