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인구감소와 도시재생 그리고 조경산업
[전문가 칼럼] 인구감소와 도시재생 그리고 조경산업
  •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
  • 승인 2018.04.23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안상욱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

국토부가 도시재생 뉴딜정책 지원사업 활성화 세미나를 권역별로 개최하고 있는데 환경ㆍ조경인은 만나보기가 어렵다. 환경ㆍ조경인의 관심은 문재인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여전히 탐색단계라고 보인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1950년대부터 2010년까지 연 평균 50만명씩 증가하면서 도시화와 택지개발과 주택의 건설이 일상화됐다. 환경ㆍ조경산업의 제도화와 확장 그리고 대형화도 이러한 인구증가와 함께 진행됐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2030년 약 5천290만명을 정점으로 2100년에는 2천800만명이 될 것으로 필자는 추계하고 있다.
수도권과 충청권 그리고 광역시를 빼고는 전국의 모든 도시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지방중소도시와 농촌도시는 도시쇠퇴 현상마저 보이고 있다.
2000년대 이후의 국가균형발전정책과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의 정부 지원의 강화는 이러한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도시의 쇠퇴현상을 개선하려는 정책 흐름임을 이해해야 한다.
환경ㆍ조경인들에게 익숙해진 택지개발사업과 신도시사업, 공동주택건설사업을 중심으로 펼쳐졌던 대형 조경공사 그리고 경관과 디자인 중시 흐름은 이제 다시 오기 어려운 과거의 풍경으로 기억될 것이다.
그 대신에 환경ㆍ조경인들이 제대로 눈길조차 주지 않고 있는 마을만들기와 주민참여예산제를 활용한 주민공모사업 그리고 도시재생사업이 쇠퇴하는 지방도시를 가꾸어가는 모습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단일형 대규모 대형공사에 비해 품이 많이 들고 복잡한 주민참여의 협치형 산업이 환경ㆍ조경인들의 자존심과 전문성을 그리고 사업성을 떨어트린다고 생각하겠지만 앞서 설명한 우리나라 인구사회변화의 흐름에 비추어 보면 지극히 정상적인 패러다임의 변화이다.
필자는 2005년 살고싶은도시만들기부터 도시재생 뉴딜에 이르기까지의 정책사업을 발굴ㆍ기획ㆍ운영ㆍ지원하고 2018년 현재 집행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조경산업을 바라보는 환경조경인의 관점을 바꿔야 한다. 과거의 틀에 안주하기보다 다가오는 미래사회의 틀로 조경산업을 다시 짜야 한다. 특히,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젊은 환경조경인들이 홀로보다 여럿이 함께, 비싼 것보다 싸면서도 주민이 좋아하는 것, 만드는 것보다 운영하는 것, 설계보다는 기획 등 낯선 작업에 투자하고 전문가집단으로서의 힘을 모아 가야 한다.
둘째, 조경산업의 든든한 공적재원을 잘 살피고 행정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힘을 모아 대한환경조경단체총연합회 속에 환경조경 도시재생지원단(정책지원팀, 사업지원팀, 협치지원팀 등)을 꾸려 각각 중앙정부ㆍ지방정부, 지방정부ㆍ공기업ㆍ중간지원조직ㆍ주민조직, 중간지원조직ㆍ관련 학회ㆍ시민사회단체ㆍ주민조직을 지원해야 한다.
셋째, 지방정부의 환경조경 행정주체와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을 지역 환경조경네트워크가 앞장서서 지원해야 한다. 지자체의 도시재생뉴딜 사업계획서 준비과정에서 장기미집행 도시공원문제의 해소, 미세먼지문제와 도시열섬현상 완화를 위한 공원녹지 확충, 빗물침투시설 강화, 옥상녹화ㆍ벽면녹화ㆍ녹화스크린과 텃밭 등 환경조경 세부사업을 적극적으로 제안해야 한다.
앞으로 도시쇠퇴와 도시소멸 현상이 더욱 뚜렷해질 것이며,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협치형 소규모 다품종 산업의 틀로 조경산업이 그리고 공원과 녹지가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날이 올 것이다.

 

정리 =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