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골목길 재생 활성화 기반 마련’ 심포지엄 개최
서울시, ‘골목길 재생 활성화 기반 마련’ 심포지엄 개최
  • 이오주은 기자
  • 승인 2018.03.20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골목재생 종합계획 및 지원제도 마련 추진

한국건설신문 이오주은 기자 = 서울시는 14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서울의 역사와 문화, 삶의 공간인 골목길을 일ㆍ삶ㆍ놀이가 어우러진 곳으로 조성하고자 전문가, 시민과 함께 골목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서울형 골목길 재생사업의 공통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에 앞서 서울시의 골목길 재생 방안을 건축, 도시계획, 마을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 시민이 함께 정책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심포지엄을 통해 서울시는 골목길 재생의 당위성과 필요성을 알리고 골목길이 자동차 중심으로 사라지거나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전락한 배경과 건축, 소방안전, 주거복지 차원에서 문제점 등을 짚어  보고 국내외 골목재생 사례, 서울시의 정책방향 그리고 전문가들의 토론을 거쳐 문제점 개선과 골목 활력 방안을 마련했다.

심포지엄 1부는 골목길의 변화와 재생의 필요성, 서울의 골목길 재생정책 추진방향, 국내외 골목길 정책 사례에 대한 주제발표를  다루고, 이어 2부에서는 제도중심의 골목길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전문가들의 정책 토론 및 시민들과 질의응답 등의 소통의 시간으로 진행됐다.

주제발표는 ▷유현준 건축가(홍익대학교 건축학부 부교수) ▷강희은 서울시 재생정책과장 ▷민현석 연구위원(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으로 각 분야 전문가 3인이 나섰다.

 

골목길 재생 및 활성화 방안 위한 각계 전문가 의견 제시

유현준 홍익대 교수는 「골목길의 변화 및 재생의 필요성」이란 주제로 골목길의 변화과정과 골목길은 왜 사람을 위한 공간이며, 골목길을 유지하고 보존해야 하는지의 당위성을, 강희은 서울시 재생정책과장은 「서울의 골목길 재생정책 추진방향」에서 서울시의 골목길 재생 추진배경 및 경위, 서울 골목길의 현황, 서울시의 골목길 재생정책 추진 내용 및 앞으로의 추진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민현석 서울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외 골목길 보전정책 사례」을 주제로 국내외에서 성공적인 골목길 보전을 위해 어떻게 골목길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구현했는지 골목길 보전사례를 중심으로 향후 서울시가 골목길 재생사업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주제발표 후에는 김기호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건축가, 언론인, 시민단체, 도시계획 및 소방 분야의 전문가가 함께하는 종합 정책토론이 진행됐다.

토론자로 나선 신승수디자인그룹오즈 건축사사무 소대표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주거자 중심의 골목정책 전환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골목의 문제는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해결방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김규원 한겨레 기자는“한옥 골목길처럼 단독주택 지역에도 건폐율 등의 완화를 통해 주민 스스로 집을 짓거나 제대로 고쳐 쓰도록 하고 인간적 척도(human scale) 및 경관을 유지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충호 서울시립대 교수(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부연구위원)는 “서울시의 골목재생이 주거 복지적 관점에서 추진하는 사업이라면 골목환경개선과 함께 개별가구의 집수리 지원을 적극 시행해야 하며,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급여를 실질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장남종 서울연구원 연구위원(도시재생연구센터)은 “4m 미만 도로에 접하는 골목길이 서울의 전체 필지중 약 30%를 차지하는 시민들의 일상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열악하여 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며, “골목길 재생은 주민 참여와 합의 절차가 필수적이며 골목개선과 함께 주택개량도 함께 지원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마을재생의 일부로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주거환경관리사업과도 연계해야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연대 김은희 정책연구센터장은 “우선적으로 골목길을 왜곡시킨 정책과 제도의 변화를 꾀하지 않은 상태에서 골목길 재생은 가능한가?”를 묻고 “그간의 진행된 골목길 사업들의 경험을 통해 주민들의 삶이 개선되고 일상적인 삶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주민참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또한, 제대로 된 비용 지불을 통해 전문가와 현장 활동가 등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