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비엔날레, 포스트 UIA
포스트 비엔날레, 포스트 UIA
  • 이오주은 기자
  • 승인 2018.02.02 18: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정] 2018.2.12 10:05 [최종수정] 2018.3.10 22:10

 
건축계는 요즘 회장 선거철이다. 단체마다 3년 임기도 있고 2년도 있는데 올해는 겹친 듯하다.

얼마 전 일이다. 건축을 전공한 한 동문이 협회에 간다는 기자에게 물었다, “협회에서 뭐해?” (협회는 무엇을 하는 곳이야? 라는 질문이다).

이 동문도 설계사무실에서 중견 이상의 경력을 쌓은 건축사보다. 그런데 협회에서 뭐하냐고 물었으니, 어찌 답을 해야할지 잠시 머뭇거렸다. 사실 이익단체라고 말해주고 싶었지만 왠지 극단적인 것 같아 사전적인 설명만 했다.

이익단체면 뭐 나쁜가. 다만, 이 겨울에 유독 몰린 각 단체 선거를 지켜보면서 어쩔 수 없이 비교하게 되는 것이, 종합하면 각자 자기 단체 회원의 권익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것이다.

그 최선은 대개의 경우, 법제도 개선부터 공약이 시작된다. 그러다 보면 당연히 대동소이한 단체들 간의 이해관계는 갭(gap) 이상의 분쟁지점이 되는데, 하루 이틀 이야기는 아니지만 선거철이다 보니 한 번에 비교가 된다.

여하튼 건축학회, 건축사협회, 건축가협회 및 군소 단체들의 수장 대부분 1/4분기에 교체된다. 건축도시공간연구소장 자리도 공석이다. 전임소장이 임기를 아홉 달이나 남겨둔 상태에서 지난달 사임했다. 차기 소장은 3월경 공모할 것으로 보인다.

대대적인 물갈이 시즌이다. 국가건축정책위원회도 수장이 바뀐다.

이번처럼 누가 위원장이 될 것인지 만인이 짐작하는 경우는 이전에도 이후로도 없지 않을까 싶다. 제왕적인 존재인지 유일한 존재인지 잘 모르겠지만 마치 답안지 유출사건을 보는 것 같다. 그렇다면 국건위는 앞으로 어떻게 달라질까.

유출된 답안에 따르면, 차기 국건위는 서울시 공공건축가 확장판이 될 것 같다.

희망사항이 있다. 국가건축가의 탄생이 한 지존의 영웅스토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잠시 말했듯이, 건축계 종사자들의 조금 더 잘 살아보려 하는 노력들이 국지적으로 상충하는 쟁점을 대략 만족스럽게 해소할 수 있는 행정 역량이 됐으면 좋겠다.

또 하나, 기념비적 프로젝트의 성사보다는, 대한민국 국토라는 한 공간 안에서 실현되는 정치 경제 사회 시민 국방 등 다양한 사안이 건축물에 담길 때, 불필요한 칸막이를 해소해주는 콘트롤 타워로서 ‘지원의 리더십’을 발휘해 주면 좋겠다.

그림자가 뚜렷해야 실체가 확고하듯…, 든든한 그런 그림자처럼 말이다.

물론 ‘국건위’라는 기관 하나로 모든 문제가 해소 또는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력 위원장이 그동안 다수의 매체를 통해 기존 국건위의 무능함을 지적해 온 것을 기억할 때, 충분히 카리스마는 있는 것 아닌가 싶다.

현 시점을 포스트 서울비엔날레, 포스트 UIA라고 부르고 싶지만, 아직은 잘 모르겠다. 어떤 역량이 쌓였으며, 어떤 통합 혹은 어떤 통찰이 남았는지.

그저 여기서 짚고 싶은 것은, 협회는 직능단체 학회는 학술단체, 그러니까 건축인을 위한 단체라면,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국민을 위한 기관”이라는 사실이다.

건축사(가)를 위한 ‘단체’가 아니며, 민간인이 공권이라는 이름의 완장을 찰 수 있는 창구도 아니고, 대통령과 사이가 돈독해 국건위는 더욱 아닐 것이다.

이 점을 잊지 않는다면, ‘메가 프로젝트’ 없이도, 건축계는 상생할 수 있게 지원하면서 국민은 상대적 박탈감(1소점 투시도가 남기는) 대신 피부로 체험하는(민화같은) 복지공간을 누려볼 수 있지 않을까.
 

한국건설신문 취재부 차장 = 이오주은 수석기자 yoje@conslov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