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화재, ‘세월호’ 이후 뭐가 달라졌나?
제천 화재, ‘세월호’ 이후 뭐가 달라졌나?
  • 김덕수 부장
  • 승인 2017.12.26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또 다시 전 국민이 슬픔에 잠겼다.
충북 제천 복합상가 화재로 60여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됐다.
문재인 정부는 제천 화재 사건이 발생된 후 지난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사건과 같이 판박이로 불릴 만큼 허둥거리다가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과 함께 ‘총체적 부실’이 사실상 또 다시 드러났다.
올해 6월 14일 발생한 영국 런던 그렌펠타워(24층) 화재사건으로 영국은 물론 전세계가 경악했다. 무려 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이다.
영국은 물론 전 세계는 가연성 외장재로 인한 화재사고의 무서움을 보았고, 영국은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어떠했는가?
지난 2015년 의정부 대봉그린 아파트(10층) 화재사고가 발생했는데 사망 5명, 부상자 125명이 발생한 바 있었다.
건축물 마감재료 특히 단열재를 사용하도록 법에 규정했음에도 무분별하게 값싼 가연성 외장재 등 무분별하게 사용했다. 이번 충북 제천 화재사고는 예견된 인재였다고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드라이비트 공법(값싼 스티로폼과 겉표면 모르타르)으로 경비절감을 했다. 화재가 발생되면 치명적인 유독가스를 내뿜으면서 5층, 10층, 15층 등 수직으로 수분만에 화재가 확산되면서 전체 건물을 집어삼킨다.
윤영일 의원에 따르면 전국 도시형생활주택 30%가 화재에 취약한 자재가 사용됐다고 한다.
그렇다면, 빌딩 오피스텔 상가 주상복합은 어떠할까? 통계조차도 없는 실정이다.
2층 통유리를 깼더라면 더 많은 인명을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지속적인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소방점검 때 과연 스프링클러의 문제점을 알지 못했을까? 8층, 9층 불법 증축과 함께 비상 통로에 목욕 바구니 등으로 항상 막혀 있었다는 지적, 작동 불능인 소화기, 화재로 인한 자동문 고장 등이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화재사고 이후 대통령을 비롯해 총리, 여야 정치인들이 현장을 찾았다. 뭐하러 현장에 갔을까? 서로 니탓만 하고 있는 모양새다.
세월호 사건처럼 정부의 무능력과 총체적 부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국민안전처가 설립됐다가 문재인 정부 들어서 해체됐다. 위기대응에 따른 매뉴얼이 없어졌는가?
문재인 정부 이후 낚시배 사고, 타워크레인 사고, 제천화재 등 대형 인재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사고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철저히 가리고 사후 대책마련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철저히 위반사항에 대해 철퇴를 내려야 한다.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법을 완전히 뜯어고쳐야 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뭐하고 있나?
‘내탓이오’라고 책임지는 이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