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의 실존성, “집은 모든 자신의 요새이다”
거주의 실존성, “집은 모든 자신의 요새이다”
  • 이오주은 기자
  • 승인 2017.10.30 13: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정2) -《건설인문학》 연재를 마치며

ⓒpixabay
17개월 동안 이어온 <건설인문학>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2016년 6월 르페브르의 “도시에 대한 권리”(도시권)을 주제어로 시작해 2017년 10월 하이데거의 “실존으로서의 거주”(거주성)을 상기하며 마침표를 찍게 되기까지 약 1년 반의 시간.

“모든 자신에게 주택은 자신의 요새이다”… 17세기 초 영국의 한 법관이 내린 판결문의 일부라고 한다. 멋있지 않은가?

마지막 회 원고는 하이데거를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건축가들도 즐겨 인용하는 철학자이기도 하다.

거주의 실존성…  “거주는 인간 실존의 근본적인 출발점이고, 주택은 이러한 실존의 강력한 물리적 토대다”… “장소와 공간(생활체계)의 형성은 삶의 과정으로서 거주와 떼려야 땔 수 없는 관계를 이룬다”

하이데거는 세계를 ‘하늘, 대지, 신 그리고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이라고 정의하는데, 이는 인간 실존에서 거주의 본질과 의미를 잘 드러내는 것이라고 한다.

“[하늘과 땅과 신과 그리고 유한한 삶의 인간]이라는 네 가지 요소(사방; Geviert, Fourfold)가 하나로 포개져 조화를 이루는 것이 [세계]이며, [장소]는 그 조화를 가능케 하는 [터전]이다. -하이데거(Heidegger), ‘인간과 공간’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 중 「건축, 거주, 사유(Bauen Wohnen Denken)」이라는 제목의 강연, 1951년 다름슈타트(Darmstadt).

거저 받은 하늘과 땅, 거저 준 신과 거저 쓰는 인간.
그러나 현대는 거저 받아 거저 쓰지 않는 인간으로부터 ‘실존으로서의 주택’과 ‘자본으로서의 주택’이 충돌해 온 것 아닐까. 지난해 기자가 꾸준히 주목했던 ‘도시권’도 같은 맥락에서 기인한 개념인 것 같다.

건설인문학 마지막 회에서는 거주의 위기가 일상화되었음을 경고한다. 만성화된 거주위기의 심각성, 특히 한국에서는 더더욱 실존보다 자산으로 교환되는 악화된 주택문제를 고하고, 거주의 실존성 회복을 위해 토지자원의 공유 정책대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 연재는 인문학의 관점을 빌어 공간에 관한 비-물성적 사고를 건축가들과 공유하기 위해 마련한 기획이기에, 각 대안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깊이 다루지 않았다. 어쩌면 대안이란 것이,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시스템이 완벽해도 궁극적으로 달라지지 않는다는 생각 탓이었는지도 모른다.

이후로도 계속 실을 수 있는 좋은 원고들이 많이 있지만 여기서 일단락을 지으려 한다.
그동안 가볍지 않은 <건설인문학>을 읽어주신 독자님께 깊은 감사를 느끼며, 이 글의 게재를 허락해주신 최병두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님과 네 분의 필자, 조정환 도서출판 갈무리/다중지성의정원 대표님, 신현방 런던정치경제대학교(LSE) 지리환경학과 교수님, 정현주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교수님, 김용창 서울대 환경대학원 지리학과 교수님께도 감사 드린다.

2016년 첫 추위는 10월 29일이었다. 올해도 10월 29일부터 다른 날씨가 시작됐다. 기온이 뚝 떨어져, 손을 호호 불어야 했던 어제(10.29) 저녁부터 시작된 초겨울, 그러나 아직은 늦가을. 많은 이들이 보다 나은 건축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소식이 들린다. 엘리트의 지적 허영으로 자칫 흐르기 쉬운 이론에 기대지 않고도 훼손되지 않은 본성에 따라 ‘집’과 ‘거주’와 ‘실존’이 지켜져야 한다는 데 의심 없이 신뢰하고 발품을 팔고 연구하고 상상하고 짓는 사람들의 소식.


한국건설신문 취재부 차장 = 이오주은 수석기자 yoje@conslov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