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접 대지 묶어 1개 땅처럼 개발…'건축협정' 쉬워진다
인접 대지 묶어 1개 땅처럼 개발…'건축협정' 쉬워진다
  • 김덕수 기자
  • 승인 2017.04.06 08: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현아 의원 발의 '건축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 건축협정 집중구역 지정제도 도입
 
인접한 여러 대지를 묶어 1개 대지처럼 개발 할 수 있는 건축협정 제도를 활성화시킬 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현아 의원은 30일 건축협정 가능구역을 확대하고 건축협정 집중구역을 제도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은 건축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건축협정은 2015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노후 도심 주택지에 주택을 정비할 때 인접 대지 소유자 사이에 건축 협정을 맺으면 협정 필지를 하나의 대지로 하여 주차장, 조경, 지하층을 통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20~30년 이상 된 도심 노후 주택지는 자생적으로 형성된 주거 지역이 대부분으로 도로가 협소하고 개별 주차장 확보가 어렵다. 현실적으로 각 필지별로는 건축물을 새로 짓거나 정비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자 건축협정 제도가 도입됐다.
그러나 지자체 조례제정과 건축협정 인가에 지나치게 긴 기간이 소요되는 결함이 있어 제도가 활성화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개정안은 현행 건축물 노후화 등으로 신규 건축 수요가 있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상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건축협정 가능 구역에 포함시키도록 했다.
현행 건축협정은 지구단위계획구역 등 3개의 법정구역 이외에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구역에서 체결할 수 있다. 그런데 법정구역 이외 지역에서 건축협정 수요가 있어도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에 평균 6개월에 달하는 기간이 소요돼 신규 건축 투자의지를 꺾어놓는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현재까지 전국 46개 시·군·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건축협정 가능구역으로 편입되면서 조례 제정을 거치지 않고도 건축협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른 건축협정 체결과 신규 건축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개정안은 건축협정 집중구역 지정제도를 도입토록 한다. 이 제도는 건축협정 인가권자가 건축협정 수요가 예측되는 지역을 집중구역으로 지정하고, 그 구역 내에서 적용될 건축 특례 세부 기준을 정하도록 한다.
집중구역 안에서 미리 정해진 세부 기준대로 건축협정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건축협정 인가를 위해 받아야 하는 건축위원회의 심의를 생략할 수 있다. 기존 건축위원회 심의가 최소 1개월에서 6개월 이상까지 걸렸던 것을 감안하면, 그 기간의 단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 개정안은 공포 후 6개월 뒤부터 시행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