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가격협의체는 지속돼야 한다
철근가격협의체는 지속돼야 한다
  • 김하수 기자
  • 승인 2013.02.27 1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 출범 후 너도나도 동반성장을 외치고 있는 가운데 철근가격을 둘러싼 건설사와 제강사 양 업계간 기 싸움만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지난해 12월 톤당 75만원에 철근가격 협상이 이루어진 후 전기로 제강사들은 올해 철스크랩 등 원재료가격 상승과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분 등을 이유로 철근가격을 1월 동결, 2월 4만7천원 인상했다.
이에 건설사들은 지속되는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업계가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오히려 제강사가 자신들의 고정비 상승분 등을 수요처인 건설사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2월 인상분은 물론 아직 1월분에 대해서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건설업계는 제강사가 양 업계의 공식적인 가격협상 창구인 ‘철근가격협의체’를 무시한 채 건설사에게 일방적으로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통보한 것에 대해 분노하고 있다.
지난 2011년 9월, 양 업계의 팽팽한 기싸움으로 결국 철근 공급중단사태까지 이르자 정부가 나서 철근가격 협상을 중재했고, 그때 향후 원활한 가격협상을 위해 구성된 것이 바로 ‘철근가격협의체’다.
이후 양 업계는 잠시나마 이 철근가격협의체를 통해 이전과 달리 철근가격을 미리 결정함으로서 그간 철근가격을 두고 몇 개월 간격으로 반복된 양 업계의 갈등이 다소 해소돼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현재 업계에서 철근가격협의체에 대해 큰 기대를 하는 이는 별로 없다. 정부에 의해 할 수 없이 협상 테이블에 앉아 만들어진 결과이지 제대로 구성된 협의 채널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철근가격협의체’라는 양 업계의 협의채널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철근 가격결정 시스템은 매번 원점으로 돌아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될 시 세금계산서 수취 거부, 철근 출하중단이라는 최악의 사태가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
양 업계의 상생을 위해서는 가격협의체가 지속돼야 한다. 따라서 제강사는 초기 가격협의체 구성시 그때의 초심으로 돌아가 원만한 가격협의를 이뤄내야 할 것이다.


한국건설신문 취재부 = 김하수 기자 hskim@conslov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