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인 위기에 빠진 건설산업을 살리자
총체적인 위기에 빠진 건설산업을 살리자
  • 양기방 편집국장
  • 승인 2011.04.27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산업이 총체적인 위기에 빠졌다.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견인해왔던 건설산업이 지금처럼 끝없이 추락을 맞는 건 유사이래 처음이다.

시중에는 재벌그룹 건설사를 포함 10대 건설사를 제외하고는 안전한 업체가 없다고 자조한다.
이미 100대 건설업체 중 29개사가 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 절차를 받고 있어 전체 1/3이 병원응급실에 입원한거나 마찬가지다.

현재 업계에는 PF(프로젝트 파이낸싱)발 5,6월 위기설이 공공연히 회자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PF대출은 모두 25조원 규모로 이 가운데 13조8천억원(35개 건설사)의 만기가 2분기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5~6월 위기설이 더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PF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그룹건설사나 현금 보유액을 많이 쌓아 논 극소수 건설사를 제외하고는 자금난에 자유롭지 않다. 특히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차입액이 많은 주택전문 중견업체들이 더욱 비상이다.

탄탄한 중견사도 PF관련 루머에 휩싸이면 아무리 좋은 사업지를 가지고 있어도 자금확보나 유동성에 브레이크가 걸린다. IMF때보다 더한 자금조달 어려움으로 건설업계는 ‘산업붕괴’ 공포감에 휩싸여 있다.

설상가상으로 수주량 마저 급격히 줄고 있다. 대형건설업체의 1분기 공공공사 수주실적은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2월 국내건설 수주액이 전년대비 17% 줄어 7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 공공수주는 작년보다 더 줄어들어 사상 최악이 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그러면 민간부문은 어떨까? 주택시장은 지방 몇곳을 제외하고 시장이 회복될 기미가 없다. 미분양 물량이 더욱 늘어나 회복불능에 빠진 상태다.

그렇다고 민간투자사업이 활성화될 여지도 점점 없어지고 있다. 최소운영수입보장제도(MRG) 폐지로 수익률이 악화되고 민자사업에 대한 여론도 호의적이지 않아 적극적인 투자여건이 요원하다. 정부가 민자사업에 대한 규제를 풀고 매력도를 높여 활성화 되도록 해야한다.

지난해 사상 최대의 해외건설수주액으로 국내 수주액의 부족분을 상쇄해준 해외사업은, 올해에는 목표달성이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우리 업체의 최대 시장인 중동지방이 소위 ‘재스민 혁명’으로 불리는 민주화 시위로 큰 차질을 빚고 있다.

더구나 올해 큰 기대를 모았던 원전시장은 일본의 지진쓰나미로 인해 원전의 안전성이 문제되면서 세계 원전시장이 크게 움츠려져 요원한 상태다.

이 같이 모든 부문에서 사면초가에 빠져 총체적인 위기에 봉착한 건설산업이 붕괴직전에 놓여있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 건설산업 활성화 대책을 종합적으로 세워야 겠다. 더 늦기 전에 올바른 방안을 내놓아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